Home
Anything
Cancel

WSL terminal에서 IntelliJ를 실행하는 방법

오늘은 WSL terminal로 Intellij 프로젝트를 실행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vscode는 설치 이후 terminal에서 code .만 입력해도 자동으로 home directory에 .vscode-server가 설치되며 해당 directory가 vscode로 열리게 되는데 아직 Intellij는 자동화가 안되있는듯 하다. 선행 작업 먼저...

next.js 14 server actions, 어떻게 돌아가는걸까?

이번에 next.js 14버전이 출시하면서 experimental features 중 하나였던 server actions가 정식으로 편입됬다. 이제 API Route를 구현하는 것을 넘어서 components 내에 선언한 함수를 호출하여 backend 작업을 하겠다는 얘기다. 심지어 이렇게 구현된 server actions는 브라우저에서 javascr...

RSA 공개키 알고리즘 이해하기

RSA란? 글을 쓰는 이 시점에서 가장 알려져있고 널리 쓰이는 공개키 알고리즘이다. 이는 어려운 수학적 문제(큰 수의 소인수 분해)에 기반하여 만들어진 알고리즘으로 만약 이 문제가 나중에 쉽게 풀리게 된다면 대체될 수 있다. 원리 먼저 원리를 알기 전에, 오일러 정리를 알아야 한다. 오일러 정리 증명에 대한 부분은 생략하고 단순히 정...

Docker를 이용한 Spring Application 실행

개발 환경은 Windows에서 WSL2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Build Tool은 Gradle입니다. 저는 데스크탑과 랩탑을 번갈아가면서 사용하는데, 매번 개발 환경을 갖추기 귀찮아서 그냥 도커만 있으면 짠 하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됬으면 했습니다. Dockerfile 작성 우선 Dockerfile을 작성하여 build를 해보겠습니다. D...